조윤제 - 인문으로 통찰하고 감성으로 통합하라 |
『생각의 혁명』의 저자이자 창조력 전문가인 로저 본 외흐 박사는 사람들의 창조성을 저해하는 요소가 바로 전문화라고 지적한다. 그는 전문화는 능률을 가져오지만 '그것은 내 전문분야가 아니다'라는 태도가 창조적 사고를 하는 데 방해가 된다고 했다. 그런 태도를 가지면 사람들은 모든 문제를 편협하게 생각하게 되어 다른 분야에 대해 전혀 생각해 보려 하지 않게 된다. 이것은 우리 사회에도 상당한 문제가 되고 있다. 한 우물을 파서 그 분야의 전문가가 되어야 성공한다는 사고는 초기 지식 사회에서는 성장의 동력이 되었으니, 통합적 사고를 요구하는 요즘에는 오히려 큰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이다. 문외한(門外漢)이 어떤 사람인가? 사전적으로 보면 어떤 일에 직접 관계가 없는 테두리 밖의 사람, 또는 그 일에 전문가가 아닌 사람을 말한다.만약 한 분야에만 전문적이고 다른 분야에는 전혀 실력도 관심도 없다면 그는 자신의 전문분야를 벗어난 모든 분야에서 문외한이 될 수밖에 없다. 그야말로 '전문분야'라는 우물 안에 살고 있는 개구리가 되는 것이다. 창의적인 사고는 한 분야의 지식이 다른 분야와 융합하여 유추되고 변형되어야만 나올 수 있다. 분야의 경계를 넘나드는 자유로운 사고에서 최고의 아이디어가 나오는 것이다. 이런 창의적인 사고가 한두 사람의 천재가 아닌 우리 사회 전반에서 나타날 때 우리는 소프트웨어 강국이 될 수 있는 것이다. 한두 개의 대기업이 아닌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창의성을 폭발시킬 수 있는 토양이 필요한 것이다. 『88만원 세대』의 저자 우석훈 교수는 『세움직인 다섯 가지 힘』이라는 책의 해제에 다음과 같이 이야기하고 있다. "지식을 분류하는 방식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백과사전형 지식'과 '전문가형 지식'이다. 단어 그 자체로, 얕지만 넓게 아는 것과 깊지만 좁게 아는 두 가지 유형의 지식 체계를 생각해볼 수 있다. 물론 모든 부문에 대해 다 잘 알면 좋겠지만 그게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고, 결국 개개인에게도 지식을 습득하는 패턴이라는 것이 생겨나게 된다. 한국에서도 백과사전형 지식은 이규태를 비롯해서 이어령에 이르기까지, 분명히 존재하온 하나의 패턴이었다. 그러나 경제 근본주의의 시대라고 할 수 있는 IMF 경제위기 이후 이러한 백과사전형 지식체계를 갖춘 사람은 더 이상 등장하고 있지 않다. 오히려 10년 가까이 전문가형 지식을 갖춘 사람을 사회적으로 우대하고, 또 그렇게 사회의 지식 체계가 움직여 나갔다. 학계만 보더라도 백과사전형 지식시대의 대명사라고 할 수 있던 '학자' 또는 '지식인'이라는 단어보다 '전문가'라는 단어를 더욱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다. 분명 그런 시기가 있었고, 지금도 우리는 한국의 10대들과 대학생들에게 '전문성'을 유별나게 강조하고 있다." 이어서 그는 앞으로 다시 한 번 백과사전형 지식이 필요한 순간이 분명히 올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흩어져 있는 지식들을 엮어내고, 그것들을 조율할 수 있는 사람의 시대가 온다는 것이다. 아니, 이미 우리 앞에 와있다고 나는 생각한다. 학문적인 기저에서 '백과사전형 지식인'은 기업이나 사회분야에서는 '통합형 인재'라고 할 수 있다. 현재 기업들 비롯한 학계와 사회의 전 부문에서는 전문성과 함께 폭넓은 지식기반을 가진 창의적인 통합형 인재를 간절히 찾고 있지 않은가. 결국 우리의 미래를 이끌고 나갈 인재들이 바로 통합형 인재들인 것이다. 《인문으로 통찰하고 감성으로 통합하라 p.17~19》 비록 스티브 잡스에 의해 감성에 대한 우리 관심이 폭발하였지만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감성이 풍부한 나라로 정평이 나 있었다. 원래 우리 한국인은 부드럽고 온유하며 여유만만한 성품을 가지고 있었다. 거스름돈을 받아도 세지 않고, 노래와 춤을 즐기며, 나보다는 남을 배려하는 등 합리적이라기보다는 직감적인 민족이었다. 2002년 세계가 놀랐던 우리의 월드컵 응원문화와 지금 전 세계 젊은이를 열광시키고 있는 K-POP 열풍 등은 감성능력이 뒷받침되지 않고는 결코 할 수 없는 일이다. 이것을 보면 전형적인 우뇌형 민족이라고 할 수 있는데, 산업화, 근대화가 되면서 경쟁과 스트레스, 그리고 조급증으로 인해 좌뇌적 성향이 강해지게 된 것이다. 특히 한창 감성능력을 개발해야 할 시기에 입시와 시험 공부에 모든 시간과 노력을 빼앗기는 것 역시 이런 성향을 심화시켰다고 할 수 있다. 세계적으로 감성적인 민족이 많이 있지만 특히 우리나라는 지배계급으로부터 평민들까지 모두 인문학적 자질과 감성을 마음껏 발휘한 나라였다. 우리나라의 왕과 지배계급인 양반들은 모두 인문학자이지 예술가였다. 왕은 왕자 시절부터 엄격한 스승 아래에서 혹독하게 공부를 해야 했고, 양반 계급은 부름을 받아 정치계로 나가기 전까지는 모두 공부만 하는 인문학도였다. 그리고 모든 양반은 서예를 통해 아름다운 글을 쓰는 예술가였다. 그리고 하층계급인 서민들 역시 세종대왕이 창제한 한글을 통해 일찍이 문학작품을 접할 수 있었다. 비록 양반계층이 탐닉하는 중국 유학과 고전 철학은 아니지만, 민족적인 특성을 잘 보여주는 재미와 해학이 넘치는 서민적인 문학을 통해 숨겨진 끼를 마음껏 발휘했던 것이다. 그리고 오히려 즐기는 쪽이었던 양반계층보다는 그것을 만드는 쪽이었던 하층계급이 더 예술적인 감수성이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 판소리, 민화, 탈춤놀이 등 지금도 세계 모든 이에게 공감을 주는 문화유산이 바로 우리의 것인 것이다. 흔히 서양의 문화와 문화재를 이야기할 때 그것은 대부분 지배계층과 피지배계층으로 명확하게 구분되는 경우가 많다. 특정한 한 가지기 지배 계층으로부터 피지배계층 모두에게서 그 감성적인 면모를 일관되게 보여주는 것은 찾아보기기 함들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우리의 도자기는 최고의 지배계급은 왕으로부터 양반계급, 그리고 최하층 서민에 이르기까지 모두 일관되게 그 감성적인 면모와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지배계층이 사용했던 고려청자와 조선백자의 아름다움과 독창성은 이미 전 세계적으로 극찬을 받고 있지만 서민이 사용했던 막사발도 새로운 감성 문화재로 떠오르고 있다. 세계 도예미학의 최고 전문가라고 할 수 있는 버너드 리치는 "이 막사발 처럼 없으면서 있는 것 같은 색과 투박한 촉감을 낼 수 있는 사람이 곁에 있다면 얼마나 편하고 남을 행복하게 할까"라며 머리를 감싸고 울부짖었다고 한다. 이처럼 우리 감성능력은 어디에 비교해도 모자라지 않다. 단지 그것을 발휘할 수 있는 능력과 잠재력을 꽁꽁 묶어두고 있었을 따름이다. 이제 우리의 숨겨진 감성능력을 깨워야 한다. 그리고 현실에 적용하고, 특히 기업 경영과 리더십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인문으로 통찰하고 감성으로 통합하라 p.159~161》 |
'문학_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서요약] 신동원 - 멍 때려라 (0) | 2023.02.20 |
---|---|
도서요약 - 《라이프 인사이드》 앤디 웨스트 (0) | 2023.02.20 |
[도서요약] 방성혜 - 마흔에 읽는 동의보감 (0) | 2023.02.16 |
[도서요약] 존 G. 밀러 - 아웃스탠딩 (0) | 2023.02.16 |
[도서요약] 정진홍 - 마지막 한 걸음은 혼자서 가야 한다 (0) | 2023.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