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군가 우울함에 집착하고 싶다고 하면 분명 이상하게 들릴 것이다.
그러나 사실이 그렇다. 삶은 불공평하고, 내가 느끼는 슬픔의 원인은 다른 사람에게 있으며, 나를 이해해주는 사람이 아무도 없다는 느낌을 오랜 시간 조건화한 나머지 우리는 절망을 습관적으로 생각하게 되었다.
이런 생각에 계속 매여 있으면 자기연민에서 벗어날 수 없다.
자기연민은 결국 자기혐오로 이어진다. 우리가 절망에 계속 집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절망 속에 사는 사람은 자신의 우울감에 스스로 책임지는 모험을 하지 않아도 되거나 평생토록 이어온 삶의 패턴을 변화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절망은 안락하게 괴로움을 겪게 한다.
이 점에서 절망은 그들에게 안전한 피난처다.
특정한 물건이나 특정한 사람이 없으면 행복하거나 자유로울 수 없다는 잘못된 견해를 가지고 살아가는 사람들이 흔하다. 마치 처음부터 불행하도록 프로그래밍이 되어 있는 듯하다.
그들의 삶의 태도는 나의 것이 없으면, 특정한 사람이 없으면, 돈이 없으면, 우정이 없으면 우울할 수밖에 없는 운명에 처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그들은 부족과 결핍을 자신의 절망에 대한 변명으로 여기도록 조건화되었다.
우리는 누구나 정도는 달라도 이런 믿음을 갖고 있으며 그에 따라 다양한 정도의 집착을 키워 왔다.이 집착이 절망의 근원이며, 우리는 자신에게 부족한 것을 근거로 자신의 우울을 정당화한다.
실제로 어떤 것을 얻으면 우리는 활홀경을 경험한다.
하지만 그 순간 우리는 그것을 잃을지 모른다고 불안해한다.
그리고 실제로 읽으면 절망한다!
이런 집착의 악순환을 끊으려면 에고와 더 높은 자아의 차이를 스스로 상기해야 한다.
에고의 목소리는 다음과 같은 생각으로 끊임없이 우리를 지배하려고 한다.
"내가 가진 것, 내가 행하는 것, 다른 사람이 나에 대해 생각하는 것이 곧 나다."
그러나 에고의 목소리에도 불구하고 고요히 머물 수 있다면 신의 목소리가 이런 메시지와 함께 나타날 것이다.
"이런 것들은 결코 너에게 행복을 줄 수 없어. 그것들은 허상일 뿐이야. 내가 너의 평화의 유일한 원천이야.
이것은 나의 가장 높은 자아가 하는 마리야. 집착과 관련된 모든 문제에 대한 영적 해결책이야."
진정으로 행복하기 위해 우리가 할 일은 오직 하나다. 스스로 그것을 다시 프로그래밍하고 영원히 낮은 에너지 상태의 집착을 제거하는 것이다. 기억하라,
집착은 실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집착은 당신의 머릿속에 있는 환영에 불과하고 당신이 실재한다고 믿을 뿐이다. 집착이 없는 상태에 축복 속에 사는 일은 정말로 가능하다.
어떤 사람이나 어떤 것이 있어야만 절망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말하지 말라.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 연습을 하라.
그런 말과 생각을 일몰과 하늘을 나는 새와 꽃이 가득한 아름다운 정원을 대하는 태도로 바꾸어라.
당신은 그것들을 있는 그대로 사랑할 것이다.
그것들에 어떤 요구도 하지 않은 채 그냥 둘 것이다.
집착하지 않은 상태로 그것들을 즐길 것이다.
이렇게 하라.
그러면 필요한 것을 가지지 못했다는 느낌 때문에 생기는 절망이 힘을 잃고 사라질 것이다.
집착을 제거하려면 그것을 단순히 내려놓아야 한다.
당신이 불행한 이유가 당신의 삶에 특정한 사람이나 물견이 결핍되었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틀렸음을 거듭 상기함으로써 그렇게 할 수 있다.
불행과 절망은 생각에 불과하다.
당신이 집착하는 모든 대상을 포기하지 않은 채 그것을 간직하고 사랑할 수 있다.
당신은 근본적인 방식으로 사랑하며, 평화롭고 위협받지 않는다고 느낄 수 있다.
이것이 신이 당신을 사랑하는 방식이다.
무조건적으로, 집착하지 않으면서 당신을 사랑한다.
간단히 말해서, 절망을 몰아내는 방법은 당신이 집착하고 있는 것을 내려놓는 것이다.
pp.254~256.
'문학_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서요약 - 《늙는다는 착각》 엘렌 랭어 (0) | 2023.03.15 |
---|---|
도서요약 - 《어떤 선택의 재검토》 말콤 글래드웰 (0) | 2023.03.14 |
[도서요약] 우동 한 그릇 / 구리 료헤이 (一杯の かけそば / 栗良平) (4) | 2023.03.11 |
도서요약 - 《칭기스 칸, 잠든 유럽을 깨우다》 잭 웨더포드 (0) | 2023.03.09 |
도서요약 - 《섬진강 일기》 김탁환 (0) | 2023.03.09 |